갑자기 병원이 문을 닫았다면? 진료기록, 이제 이렇게 찾으세요!

혹시 다니던 병원이 어느 날 갑자기 문을 닫아서, 진료기록이나 진단서 발급이 막막하셨던 분들 계실까요?

저도 주변에서 이런 얘기 종종 들었는데요,
막상 필요한 서류가 있을 땐 병원은 연락 안 되고, 보건소도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겠고…
정말 답답하셨을 거예요.

다행히! 이제는 그런 걱정 덜어도 되는 시스템이 생겼답니다.😊

진료기록 서비스 안내문

 

진료기록 보관, 원래는 병원 책임이에요


의료기관이 폐업을 하더라도,
진료기록은 무조건 10년 동안 보관해야 한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문제는 그걸 병원에서 직접 맡다 보면 연락 두절되거나, 보관 공간이 부족하거나, EMR(전자차트)도 날아가버릴 수 있다는 점이죠. 그래서 보건복지부가 나섰습니다!

 

‘진료기록보관시스템’ 도입! 이젠 온라인으로 쏙~


2025년 7월부터, 의료기관이 문을 닫게 되면,

진료기록을 온라인 시스템에 바로 이관할 수 있게 바뀌었어요. (이제 보건소 갈 필요도 없어요!)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하느냐고요?

👉 포털에 접속해서 → 본인 인증만 하면 → 진료기록 발급 끝!
진단서, 진료 내역서, 보험 서류 등 17종을 언제든 꺼내볼 수 있어요. 진짜 간편해졌죠?

 

📄 발급 가능한 17종 진료기록 목록

  • 진료기록부·조산기록부·간호기록부 : 진료와 관련된 기본 정보가 담긴 장부 형식 기록이에요.
  • 진단서·상해진단서  : 병명이나 상해 사실 등을 증명하는 공식 문서죠.
  • 사망/사산 증명서 : 특히 중요한 경우에 필요한 기록이에요.
  • 처방전 : 어떤 약을 언제 처방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 진료비 계산서·영수증 및 세부 산정 내역 : 비용 내역이 필요할 때 편리하죠.
  • 후유장애진단 관련 기록 : 사고 이후 후유증 관련 서류로, 보험이나 보상 받을 때 중요해요.
  • 입·퇴원·통원 관련 기록 : 입원·퇴원 또는 외래 진료 횟수도 확인 가능합니다.
  • 진료 이력 관련 기록 : 전체 방문 이력 확인용!
  • 수술·검사·방사선 판독 관련 기록 : 수술이나 검사(혈액, 영상 등) 내용도 한눈에 정리돼요

대리인도 진료기록 발급 가능할까요?

혹시 직접 발급받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가족이나 보호자 등 대리인을 통한 진료기록 발급도 가능합니다!

단, 위임장과 신분증 사본 등 몇 가지 서류가 필요해요.
온라인 시스템에서도 대리인 신청 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니
요 부분은 포털 이용 시 자세한 안내 참고하시면 헷갈림 없이 처리하실 수 있어요😊


진료기록, 그냥 서류 아니에요!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

진료기록이 왜 필요하냐고요? 생각보다 정말 많은 곳에서 쓰입니다!

  • 보험 청구할 때 : 진단서나 입원 기록 없으면 보상도 못 받아요.
  • 장애 등급 신청할 때 : 증빙 서류로 꼭 제출해야 하죠.
  • 국민연금·산재·유족급여 신청할 때 : 이때도 빠지면 곤란해요.
  • 새 병원 갈 때 내 진료이력 공유 : 어떤 병을 앓았는지, 어떤 약을 먹었는지 알려줘야 정확한 진료가 가능하잖아요.
  • 건강검진 이력 확인 : 이전 검사결과를 비교해야 변화 추적이 되죠.

진료기록은 단순한 “병원 다녀온 기록”이 아니라, 나의 건강 히스토리이자, 미래 치료를 위한 핵심 자산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진료기록보관시스템 덕분에, 내 건강 정보는 국가가 책임지고! 안전하게! 지켜줍니다!


진료기록이 안 뜬다고요? 이런 이유 때문일 수 있어요!

 

1️⃣ 병원이 아직 시스템에 이관을 안 했어요

휴업·폐업했더라도, 의료기관 개설자가 아직 EMR(전자차트) 자료를 시스템에 전송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이관을 권장하고 있지만, 의무 시점이나 이행 속도가 기관마다 다를 수 있어서 아직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은 기록은 검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본인 인증이 정확히 되지 않았어요

공동인증서, 휴대폰 인증 등을 제대로 거치지 않으면, 시스템에서는 ‘본인’으로 인식하지 못해서 기록이 뜨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진료기록 보관 기간이 끝났어요

진료기록은 의료법상 10년 보관 의무이기 때문에, 그 이후의 기록은 법적으로 폐기될 수 있어요.

 

4️⃣ 아직 시스템에 반영 중일 수도 있습니다.

시스템이 2025년 7월에 갓 도입된 만큼, 지금 이 시점엔 모든 폐업 병원의 자료가 다 반영된 상태는 아닐 수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수 있으니 며칠 후에 다시 시도해보거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고객센터에 문의해보세요😊


병원이 문을 닫더라도, 내 건강 기록은 이젠 놓치지 않고 꼼꼼히 챙길 수 있는 시대가 왔습니다.

혹시 가족 중에 폐업 병원에 다니셨던 분 있다면, 이 시스템 꼭 알려드리세요.


🔍 출처 참고